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Linux67

원격 서버 root 권한으로 명령어 실행하고 싶을 때 linux 보안 취약점 제거를 위해 원격(ssh) 접근 시 root 접속을 제한한다. 그런데 하나의 서버에서 다수의 서버를 관리하려면 필요에 따라 원격 서버에 해당 서버의 root 계정으로 명령어를 실행해야 할 때가 있다. (예를 들어 tomcat, weblogic 등이 root 계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.)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? ssh-key 공개키가 이미 복사되었다는 전체하에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. ssh [원격서버 개인계정]@[원격 서버 ip] "sudo su - -c whoami" 예상 결과는 root라고 나올것이다. ex) ssh imsi_id@10.10.10.10 "sudo su - -c whoami" 물론 [원격서버 개인계정] 이 이미 sudo 권한이 있어야 한다. 다음과 같.. 2023. 9. 19.
grafana timerange 전역변수 활용(timefrom, timeto) grafana 시간 범위를 활용하여 데이터 조회 및 평균, 최대값을 구하는 등 timerange를 활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. postgresql 기준이니 참고바란다. SELECT avg(linux_cpu_max) FROM daily_perf WHERE host_name = '$LINUX' AND date between $__timeFrom() and $__timeTo(); under bar(_) 가 두개다 주의 2023. 9. 18.
reboot 하면 lastlog 권한이 664로 계속 바뀌어요 리눅스 설정 값 중에 로그 파일들 권한을 설정해주는 파일이 있어서 그렇다. /lib/tmpfile.d/var.conf 여기서 수정하면 리붓해도 설정한 권한으로 유지된다.(테스트 완료) How to change default file permissions for /var/log/wtmp? SOLUTION VERIFIED - Updated April 21 2023 at 3:17 AM - Environment Red Hat Enterprise Linux (RHEL) 7 Red Hat Enterprise Linux (RHEL) 8 Issue How to permanently change the default file permissions for /var/log/wtmp ? Resolution For RHEL 7.. 2023. 6. 21.
linux command - bc bc는 흔히 계산기로도 알려져 있다. 사용자는 보통 bc를 입력하고 계산한 뒤 빠져나오는 방식을 많이 사용할텐데 그보다는 shell 짜서 사용하는 게 더 좋다. 그리고 `a/b` 처럼 그냥 출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런 방법은 출력이 정수로 출력되므로, 소수점까지 출력하려면 다음과 같은 예제처럼 사용하는게 좋다. x=$( printf "%s\n" 'scale = 10; 104348/33215' | bc ) echo $x 3.1415926539 파이를 출력한 예제다. scale을 써서 소수점 10자리까지 표현했다. 학창시절때는 파이 어디까지 외우나 하는게 취미였는데 요즘은 가물가물하다. NAME top bc — arbitrary-precision arithmetic language SYNOPSIS top b.. 2023. 5. 17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