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에 VMware ESXi Standard Switch에서 flapping이 발생하여 이에 관한 개인적인 견해를 남겨보고자 한다.
flapping이란?
[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]
검색
Flapping, Route Flapping, Interface Flapping Flapping 현상 (2010-03-12)
▷ Top ▷ 통신/네트워킹 ▷ 인터넷/데이터통신 ▷ 라우팅 ▷ 라우팅 수렴성/루핑
1. Flapping
ㅇ 라우터 간의 링크,경로 등이 죽었다 살았다를 반복하는 현상
1. 원인
1) 케이블 원인
. 케이블 종단자(RJ45, LC 등)가 헐겁게 꽂혀 있을 경우. 즉, 접촉 불량
. UTP 케이블 전기에 의한 간섭
. FC 케이블 손상에 의한 빛샘
. FC 케이블 휨
2) FC GBIC 광량 부족
2. 예방 방법
- 딱히 없다. 이벤트 모니터링을 충실히 하자.
보통은 NW Up/Down 이벤트가 반복되므로 HW모니터링, 스위치 모니터링 양쪽 모두 설정을 잘 해놓도록 하자.
- 특히 FC 케이블이라면 NW스위치 쪽에서 광량 모니터링을 걸어주도록 하자.
3. 현상
- 네트워크 Port Up/Down 반복
4. 조치 방법
- NW가 완전히 단절된 게 아니므로 서비스는 비정상(장애) 상태가 되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므로, 케이블을 뽑거나 Port를 이중화 구성에서 제외하자.
5. 개인 의견
- 이상 없던 시스템에 flapping이 발생한다? 거의 99% 누가 건드려서다.
서버나 NW스위치 쪽 Railkit이 없어서 케이블이 쳐져서 발생할 수 있으나 이건 극히 적은 경우고
대부분은 케이블 포설/철거 작업하다가, 혹은 다른 서버 뒤에서 만지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.
진짜 재수없게 GBIC이 노후화 돼서 발생할 수 있으나, 이건 NW스위치 쪽에 광량을 확인하는 커맨드가 있으므로 평상시 모니터링을 잘 설정해서 보면 된다.
- 이건 이중화와는 다른 개념이라서 모니터링을 잘 하고 발생 시 빠르게 조치하는 수밖에 없다.
- 서버든 NW이든 flapping이 지속되면 port를 disable 시키는 경우가 있으니 port가 올라오지 않는다면 양쪽에서 강제 port Down/Up 해주자
- Port 이중화 구성 시 Active-Active로 할 지, Active-Standby로 할 지는 선택사항이고 개인적으로는 영향도 감소 및 NW 대역폭을 넓게 쓰기 위해 Active-Active가 좋다고 생각한다.
- 다만, flapping 의 경우 케이블 간 서비스가 옮겨다닐 수 있으므로 Auto Failback 옵션은 모두 off 로 해놓는 것을 권장한다.
'VMw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SXi 이름 바꾸기 (0) | 2022.06.10 |
---|---|
ESXi syslog 모니터링 구성(rsyslog) (0) | 2022.06.10 |
vCenter 재설치 후 할 일 (0) | 2022.04.26 |
vCenter 관리 페이지 (0) | 2022.04.26 |
vCenter SSL 인증서 만료 문제 (0) | 2022.04.2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