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래대로라면 /etc/sudoers 파일을 통한 계정 별 권한 부여 전체를 다루는 게 맞겠지만,
일단은 간단한 사용방법만 등록하고자 한다.
앞서 말하지만 /etc/sudoers 를 활용한 권한 관리는 추천하지 않는다.
왜냐하면 서버 수가 많아질 수록 "변수"가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에
코딩으로 완벽하게 표준화 시키든가, 아니면 애초에 원하는 계정으로 접속해서 실행하라고 하는게 맞지
타 계정으로 명령어 실행하게 하는건 관리 효율이 심각하게 떨어진다.
운영자의 마인드는 항상 "대형 시스템" 운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.
잡설이 길었고
간단한 샘플은 다음과 같다.
account_A ALL=(account_B) NOPASSWD:/usr/bin/whoami
account_A 에게 모든 서버(ALL)에서 account_B 계정으로 패스워드 없이 스위치 해서 /usr/bin/whoami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.(제발 man page나 주석도 이렇게 쉽게 이해하게 해줬으면...)
이렇게 부여한 뒤(서비스 재시작이나 reboot 없이 즉시 반영)
[account_A]$ sudo su - account_B whoami
account_B
이렇게 실행하면 결과가 나온다.
번외로 타 유저로 스위치 할 수 있는 권한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
위 문법이랑 많이 차이가 나 보여서 그런데 "ALL=" 뒤에 계정명이 빠진 것 뿐이다.
엄밀히 말하면 sample 형식의 문법이라 이해하면 된다.
sample) 실행하는계정 실행하는서버=(타계정) 패스워드사용여부:명령어
account_A ALL=NOPASSWD: /usr/bin/su - account_B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sftp umask 변경 (0) | 2024.05.27 |
---|---|
Windows Linux Unix(AIX) 파일 공유 (0) | 2024.04.25 |
일반유저가 1024 이하 포트를 사용하기(setcap/getcap) (1) | 2024.01.23 |
nvidia A30 Graphic 드라이버 설치 (0) | 2024.01.16 |
부팅 프로세스 중 서비스 우선 순위 변경 (0) | 2023.11.23 |
댓글